Particle RI : 입자의 굴절률(Refractive Index)
Medium RI : 솔벤트의 굴절률
D50또는 D(V,0.5) : 측정하는 샘플의 분포에서 50%의 입자크기로서 입도 중간값 Sieve(체)로 볼때는 절반이 빠지고 절반이 위에 남은 상태
D3 : 전체분포에서 시작점에서 3%의 입자크기 (값이 작다.)
D97 : 전체분포에서 시작점에서 97%의 입자크기 (값이 크다.)
D(4,3) : 체적 평균값
D(3.2) : 면적 평균값
OBS(Obscuration) : 샘플의 탁도로써 샘플이 레이저를 가리는 양을 나타내고, 일반적으로 샘플의 투입량을 말한다. 샘플의 탁도는 10%~30%로 조절하면 되고 통상 15% 정도로 맞추어 샘플을 투입한다.
Span : 샘플의 분포 폭으로서 D90-D10값/ D50값으로 계산된다.
이 값이 작으면 분포 폭이 좁음을 의미하며 품질이 좋다고 판단한다.
SSA : 비표면적 값이며 이 값을 보려면 측정 전에 샘플의 Density 값을 입력해야 한다.
Residual : 투입된 샘플의 양을 100%에서 분석하지 않고 제외하는 %.
분석시 예상되는 값과 차이가 많이 날 때 제외한다. (이물질등을 제외함)
예) Residual : 2%라면 투입된 샘플의 양에서 2%는 측정하지 못하고 98%만 측정한 것이다.

댓글 0